반응형

성장일기 65

함수의 파라미터 (Parameter) 인자 (Argument) 완벽 정리하기

1. 파라미터 (Parameter)정의: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변수 이름.위치: 함수 선언부에 작성됨.역할: 함수 내부에서 사용할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역할.예제:def greet(name): # 여기서 'name'이 파라미터! print(f"Hello, {name}!")name은 함수가 호출될 때 전달받을 데이터를 담을 파라미터야.2. 인자 (Argument)정의: 함수를 호출할 때 실제로 전달하는 값.위치: 함수 호출부에 작성됨.역할: 파라미터에 전달되어 함수 내부에서 사용될 실제 데이터.예제:greet("Alice") # 여기서 'Alice'가 인자!"Alice"는 함수 호출 시 name 파라미터에 전달되는 인자야.3. 쉽게 비유하자면:파라미터는 함수 선언 시 빈 상자이고,인자는 함수를..

[파이썬] random.choice()를 이용한 스터디 순서 정하기 코드

import randomuser = ['A','B','C']num = 0 # 순서를 나타내는 변수for i in range(len(user)): choosen = random.choice(user) #리스트 형식으로 값이 출력 string_result = " ".join(choosen) #문자형으로 형식 변경하는 방법 print(f"{i+1}번 순서는: "+ string_result) user.remove(choosen) #이미 뽑힌 사람은 제거하기 num += 1스터디 진행시 순서를 정할떄 사용하기 위해서 배웠던 내용을 기반으로 순서 정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았다.이미 뽑힌 사람은 제거해야하니까, user.remove(choosen)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코..

문자열과 계산 기호의 결합, 문자열 연산 총정리

파이썬에서 문자열과 계산 기호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문자열 연산(string operations)이라고 하며, 직관적이고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아래는 주요 문자열 연산과 동작 방식에 대한 정리입니다.1. 문자열 반복 (*)설명: 문자열을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새로운 문자열을 생성.사용법: 문자열 * 정수예시:# 단순 반복print("_ " * 5) # "_ _ _ _ _ "# 변수 사용word = "Hi"print(word * 3) # "HiHiHi"결과:_ _ _ _ _HiHiHi2. 문자열 연결 (+)설명: 두 문자열을 결합하여 하나의 문자열로 만듦.사용법: 문자열1 + 문자열2예시:greeting = "Hello"name = "Alice"print(greeting + " " + n..

for...in 문 그리고 이터러블 객체

for ... in 문은 문자열을 문자 단위로, 리스트를 각 요소 단위로, 딕셔너리는 키 단위로 순회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문자열을 순회할 때는 문자 하나씩 처리하므로, 반복문 안에서 문자 하나하나에 접근이 필요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이터러블 객체를 순회하며 하나씩 값을 반복문에 꺼내준다는 것 기억하자! 이터러블 객체란?"반복 가능한 객체"를 말해요. 즉, 하나씩 꺼내올 수 있는 데이터를 가진 객체! 더보기예를 들어 리스트, 문자열, 튜플처럼 하나씩 순서대로 꺼내볼 수 있는 것인덱스를 사용해서 요소에 접근하는 방식을 선호했는데, 이건 내가 for... in 문을 잘 몰랐던 것 같음 for i in range(len(choose_word)): if choose_word[i] == first_que..

유데미 러닝크루 1기 활동 후기: 성장과 배움 그리고 함께하기 - 파이썬

유데미 러닝크루 1기 활동 후기: 성장과 배움 그리고 함께하기안녕하세요! 😊 저는 이번 유데미 러닝크루 1기로 활동하면서 새로운 배움의 기회를 만끽하고 있는 러닝크루 리더입니다.오늘은 제가 학습한 내용과 느낀 점, 그리고 활동하면서 겪었던 경험들을 정리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유데미 러닝크루란?유데미 러닝크루는 다양한 강의를 통해 자기계발과 전문성을 키우고자 하는 분들을 위한 스터디 그룹 활동입니다. 저처럼 IT 직군 주니어 직장인이나 취업 준비생에게 특히 적합한 프로그램이에요. 강의를 듣고 학습을 나누며 성장하는 경험을 할 수 있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또 이게 혼자하려면 엄청난 의지가 없다면 끝까지 하나의 강의를 완주하는게 어렵잖아요? 그래서 여럿이 함께 하면 분명 더 성장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기..

kubectl expose 명령어 사용법 정리

kubectl expose 명령어는 Kubernetes에서 실행 중인 포드(Pod) 또는 레플리카셋(ReplicaSet) 등과 같은 리소스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는 일반적으로 서비스(Service)를 생성하여 내부 리소스를 외부 네트워크나 클러스터 내의 다른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기본적으로 expose 사용시 리소스에 할당하게되면 자동으로 라벨링이 맞춰진답니다. 이런 점이 편한점이라고 볼 수 있죠kubectl expose pod my-pod --port=8080 --target-port=80 --name=my-pod-service라벨추가kubectl expose --port= --labels==,= [options]예제Pod 노출과 라벨 추가:이 명령어는 my-p..

kubectl apply create 주요 차이점 정리

kubectl create와 kubectl apply는 Kubernetes 클러스터에서 리소스를 생성하고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이 두 명령어의 차이점은 리소스를 생성하는 것,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 하는 것입니다.kubectl create주요 목적: 새 리소스를 생성합니다.동작: 지정된 매니페스트 파일을 읽고, 해당 리소스가 클러스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 생성합니다. 이미 존재하는 경우 오류를 발생시킵니다.사용 예시:kubectl create -f kubectl apply주요 목적: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합니다.동작: 지정된 매니페스트 파일을 읽고, 해당 리소스가 클러스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 생성합니다. 이미 존재하는 경우 매니페스트 파일의 내용에 따라 리소스를 업..

Virtual Box, Vagrant 파워쉘로 설치하는 방법

1.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Chocolatey를 설치하세요. Chocolatey 를 설치하면 Virtual Box도 설치할 수 있습니다. Set-ExecutionPolicy Bypass -Scope Process -Force; [System.Net.ServicePointManager]::SecurityProtocol = [System.Net.ServicePointManager]::SecurityProtocol -bor 3072; iex ((New-Object System.Net.WebClient).DownloadString('https://community.chocolatey.org/install.ps1'))2. Chocolatey가 설치된 후, 아래..

쥬피터랩(jupyterlab) 설치 방법 ( 클라우드 서버, 우분투, 비밀번호 설정, 자동재시작 )

우분투 클라우드 서버에 쥬피터랩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이 글로 한번에 다들 깔끔하게 설치해서 사용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당연히 8888 포트와 여러분들의 환경 대역이 접근 할 수 있도록 보안그룹에 설정해야하는건 기본이신거 아시죠?! #쥬피터랩설치 # Python3와 pip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y python3 python3-pip # JupyterLab 설치 pip install jupyterlab #경로지정 export PATH=$PATH:/your_path_to_jupyter/.local/bin source ~/.profile jupyter-lab notebook --generate-config echo "c.ServerApp.ip = '0..

[쿠버네티스] port-forward로 pod에 접근하기

kubectl port-forward 명령어는 Kubernetes 클러스터 내의 Pod에 있는 하나 이상의 포트를 로컬 컴퓨터의 포트에 전달(포워딩)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개발자나 관리자는 클러스터 내부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로컬 시스템에서 클러스터 내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디버깅과 개발 작업에 매우 유용합니다. 사용법 kubectl port-forward [LOCAL_PORT:]REMOTE_PORT kubectl port-forward는 테스트 및 디버깅 용도로 주로 사용되며, 생산 환경에서는 신중하게 사용해야합니다. 포트포워딩을 사용하면 로컬머신과 pod 사이에 직접적인 네트워크 연결이 생성되기 때문에 보안상의 위험을 증가할 수 있습니다. 당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