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장일기 65

[파이썬코드] 1부터 n까지의 합 구하기 , 제곱의 합 구하기

1부터 연속으로 숫자의 합을 구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for문을 이용해서 구하면 된다. def sumadd(n): sum =0 for i in range(1, n+1): sum = sum+i return sum print(sumadd(10)) 하지만 우리는 중고등학교 때 수학시간에 1부터 n까지의 합의 공식을 배웠을 것이다 그 공식을 이용해서 다시짜보자 def sumadd(n): for i in range(1 , n+1): sum = n * (n+1) /2 return sum print(sumadd(10)) 이렇게 짜면 훨씬 더 간단하고 빠르게 구할 수 있을 것이다 Q. 1부터 n까지 연속한 숫자의 제곱의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for 반복문으로 만들어보라. def sumtest(n): s = 0 fo..

[파이썬기초 문법]Day2, 조건문 IF

조건문은 아무래도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함수중 하나인 것 같은데요 파이썬에서 조건문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if 조건문 사용법 if age < 30 : print('아직은 20대입니다') ​ if (조건절) : 띄어쓰기 4칸 (조건절이 참일 경우 실행할 문장) age = 25 if age < 30 : print(age,'살은','아직 20대를 의미합니다.') 변수 age 선언 후, 조건문까지 사용하는 예제 ​ 띄어쓰기 4칸 = tab 과 동일한 역할을 하지만, 어떤 개발자는 띄어쓰기로 하는것이 더 낫다라고 말씀하시는 분도 있는데 이유는 저도 정확히 기억은 안나네요.. if~ else 조건이 참일때와 거짓일때의 결과값을 도출하고자할때! else는 조건문이..

[파이썬기초 문법]Day1, Print() ,변수, 숫자와 문자열

프로그래밍 언어도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처럼 외국어도 영어도 잘 알다가도 안쓰다보면 까먹잖아요? 컴퓨터 언어도 똑같은 언어 인 것 같아요! 안쓰면 까먹는 이슈요 그래서 저는 기록하곘습니다! ​ 문자 출력 - Print(' 문자' ) 파이썬에서의 출력 함수 Print ()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할게요. 문자나 글을 하고싶은 말 우리 화면으로 출력할때는 항상 Print() 함수를 써야해요 print('누리의 14일간의 파이썬기초 문법정리') Print함수는 Print + 소괄호 + 작은따옴표 + 하고싶은말 + 작은따옴표 + 소괄호 이렇게 사용하죠 ​ 제가 여기서 작은 따옴표 하나를 안쓰고 결과값을 출력하면 어떤 상황이 일어날까요? print('누리의 14일간의 파이썬기초 문법정리) SyntaxError: 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