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파라미터 (Parameter)
- 정의: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변수 이름.
- 위치: 함수 선언부에 작성됨.
- 역할: 함수 내부에서 사용할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역할.
예제:
def greet(name): # 여기서 'name'이 파라미터!
print(f"Hello, {name}!")
- name은 함수가 호출될 때 전달받을 데이터를 담을 파라미터야.
2. 인자 (Argument)
- 정의: 함수를 호출할 때 실제로 전달하는 값.
- 위치: 함수 호출부에 작성됨.
- 역할: 파라미터에 전달되어 함수 내부에서 사용될 실제 데이터.
예제:
greet("Alice") # 여기서 'Alice'가 인자!
- "Alice"는 함수 호출 시 name 파라미터에 전달되는 인자야.
3. 쉽게 비유하자면:
- 파라미터는 함수 선언 시 빈 상자이고,
- 인자는 함수를 호출할 때 그 상자에 넣는 물건이야.
예를 들어:
def pack_lunch(box): # 'box'는 파라미터 (상자 이름)
print(f"{box}에 도시락을 넣었습니다.")
pack_lunch("빨간 상자") # '빨간 상자'는 인자 (실제 상자)
- box는 "어떤 상자든 받을 준비"를 한 변수이고,
- "빨간 상자"는 실제로 전달된 상자
반응형
'성장일기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random.choice()를 이용한 스터디 순서 정하기 코드 (0) | 2024.12.05 |
---|---|
문자열과 계산 기호의 결합, 문자열 연산 총정리 (0) | 2024.12.03 |
for...in 문 그리고 이터러블 객체 (0) | 2024.12.03 |
유데미 러닝크루 1기 활동 후기: 성장과 배움 그리고 함께하기 - 파이썬 (2) | 2024.12.03 |
pretty print로 json 데이터 이쁘게 출력하기 (3) | 2023.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