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리소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모델을 의미합니다. 이 모델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AWS, Azure, NCP, NHN과 같은 CSP가 제공하는 인프라 리소스들 (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을 인터넷을 통해서 클릭클릭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
온디맨드 서비스: 필요에 따라 컴퓨팅 리소스를 신속하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필요한 만큼의 리소스만 사용하고, 그에 따라 비용을 지불합니다.
자동화된 관리: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의 하드웨어 리소스와 관련된 관리 작업은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의해 자동화되어 처리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리소스 관리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액세스: 인터넷을 통해 어디서든 컴퓨팅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확장성, 유연성, 비용 절감, 효율성 등의 장점을 제공하며,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Cloud를 공부해야해 > Cloud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의 장점은 무엇인가 (0) | 2023.06.30 |
---|---|
하이퍼바이저(Hypervisor)가 무엇일까요? AWS는 어떤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하죠? (0) | 2023.06.30 |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가상화' 기술 ( 하이퍼바이저, 컨테이너, 가상머신 등) (0) | 2023.06.30 |
클라우드 컴퓨팅 '가상화'란 무엇인가! (0) | 2023.06.30 |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하는 유형 ( IaaS, PaaS, SaaS 정리) (0) | 202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