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Extentions에서 remote-ssh 검색해서 설치
2. Ctrl+shift+p 또는 F1 키 눌러서 config 파일 선택
3. config 파일 아래와 같이 수정
Host test #별명넣을수있음
HostName #클라우드 서버 공인IP
User #클라우드 서버 사용자이름 (ex) root, centos, ubuntu 등등
IdentityFile C:\Users\NHN\Documents\pemkey\xxxx.pem #내 노트북 pemkey 위치
IdentitiesOnly yes
IdentitiesOnly
Specifies that ssh should only use the identity keys configured in the ssh_config files, even if ssh-agent offers more identities.
ssh-config 파일에 구성된 pemkey로 로그인하고자 할때 해당 옵션을 yes로 변경해주는 이유!
4. 클라우드 서버에서 22번 포트 오픈 ( 당연히 원격지는 내가 현재 사용하는 공인IP만 열어주기 절대로 0.0.0.0/0으로 열지말기! )
5. 그럼 아래와 같이 구성이되었고 접속하고자 하는 설정을 클릭하면 서버와 연동되어서 사용가능!
6. 현재 접속한 계정에 소유자를 변경해줘야합니다.
sudo chown -R 현재사용자계정 *
즉 위의 설정 파일에 적었던 User영역이 root 가 아니라면 이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vscode에서 작성한 코드들이 저장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성장일기 > 메모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 Box, Vagrant 파워쉘로 설치하는 방법 (0) | 2024.05.26 |
---|---|
Windows에 우분투 설치하기 (WSL 이용하기) (0) | 202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