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여러 후기들을 확인해보니 도커 빌드해서 이미지를 TAR 파일로 저장하고, 저장된 TAR 파일에서 이미지를 불러옵니다.
docker save 명령어 : 이미지를 TAR 파일로 저장, 주로 이미지를 아카이브로 보관하거나, 네트워크가 없는 환경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전송할 때 사용
docker save -o <파일명.tar> <이미지명:태그>
docker load 명령어 : 저장된 TAR 파일에서 이미지를 불러올 때 사용, 주로 docker save로 저장한 이미지를 다시 Docker 데몬에 로드할 때 사용
docker load -i <파일명.tar>
성공적으로 불러오면 이미지가 Docker 데몬에 추가되고, docker images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음
참고로 TAR 파일은 이미지의 모든 레이어를 포함하므로 파일 크기가 커질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명령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docker save와 docker load는 Docker 이미지를 아카이브하고 복원하는 핵심 도구로, 특히 네트워크 연결이 제한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Certificated 도전 > CKAD-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KAD] Blue/Green 배포와 Canary 배포 정리 (0) | 2025.01.22 |
---|---|
[CKAD] 볼륨 문제는 무조건 나오는 듯! 최종 정리 (0) | 2025.01.22 |
[CKAD] 시험 도메인 정리 (ChatGPT가 알려주는 전략) (0) | 2025.01.22 |
[CKAD] NetworkPolicy 무조건 알아야함 (0) | 2024.09.06 |
[CKAD] Service Account 완벽 정리 (0) | 2024.09.05 |